알고리즘


N의 크기가 1<= N <= 3 이기에, 브루트포스를 이용했다.

이 문제를 구현하면서 조건 거를 때 if 문 사용과 중복을 어떻게 걸러낼 것인지에 대해서 조금 익숙해진 것을 느꼈다.

 

 

최종 코드


n = int(input())
total = []
cnt = []
t = []
for _ in range(n):
    s,c,l = map(int, input().split())
    total.append(s)
    cnt.append(c)
    t.append(l)
    
for i in range(n):
    # 같은 값이 존재하면
    if total.count(total[i]) >= n:
        # 제출 횟수 같은 경우
        if cnt.count(cnt[i]) >= n:
            print(t.index(min(t))+1)
            break
        else:
            print(cnt.index(min(cnt))+1)
            break
    else:
        print(total.index(max(total))+1)
        break

 

count 함수문자열이나 list에만 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 문자열에만 사용 가능하다 생각하고 map(str, list)랑 map(int,list)를 번갈아 가며 해주었다. 

 

점점 줄어드는 코드 길이 😂

 

sebinC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