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P] Cloud NAT 구축 과정 및 작동 방식
·
DevOps/GCP
개요서버 상황GCP MIG의 Substitute 방식을 통해 무중단 배포로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서비스 특성상 24시간 서버 가동이 필수적이었기에 무중단 배포는 반드시 유지되어야 한다.Terraform이나 Ansible 같은 IaC를 도입할 만한 리소스가 부족한 상황이다. 문제 상황NICE API 요청을 위해 IP 주소가 바뀔 때마다 화이트리스트에 IP를 수동으로 등록VM인스턴스에서 도는 웹사이트는 WebClient를 통해서 NICE 서버와 http 통신을 한다. 이때, VM 인스턴스의 공인 ip가 HTTP 통신 요청 헤더의 host 필드값으로 들어가게 된다. NICE 측에서는 이 요청값을 통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IP인지 아닌지 확인을 한다. ➡️ 따라서 IP를 번거롭게 매번 등록해야 한다. 위험성..
[GCP] Instance Template과 Instance Group을 통한 VM 서버 생성과 블루-그린 배포
·
DevOps/GCP
개요웹사이트 개편 작업 이후 도입된 외부 API는 요청 헤더값에 우리 웹사이트의 vm 인스턴스 정보가 담긴다. 이러한 VM 인스턴스 IP 주소는 유동 IP로 설정되어있어서, IP가 변경될 때마다(배포할 때마다 - 블루∙그린배포) 매번 VM 인스턴스의 IP를 화이트리스트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러한 수동 업데이트 방식은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편작업을 담당하였다. 그 과정을 시리즈로 블로그에 정리해보려 한다. 이 포스팅은 그 시작점인 Instance Template의 설정과 MIG이다.  Instance Template Instance Template은 MIG를 통해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 가상머신 생성을 위한 일종의 규칙 사항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GCP의 Instance ..
[DB] TRUNCATE, DELETE | RDBMS 삭제 명령어 비교
·
DB/SQL
개요로컬에 더미로 쌓아둔 데이터가 너무 많고 난잡해서 database 값들을 초기화했는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현재 Table 구조는 상당히 복잡하게 연관관계가 매핑되어있다.예를 들어, 유저가 회원가입을 하면 account 테이블이 생성되고, 이와 관련하여 account_a, account_b, account_c… 이런식으로 관계가 정의되어 있기에 update나 insert, delete 등의 명령어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나처럼 무심코 정리했다간 에러지옥에 파묻힐것이다ㅠ.ㅠ 실서버나 staging과 같은 테스트 서버에 데이터를 쉽게/자주 조작하면 안되겠지만,local은 테스트를 위해 이런저런 작업을 하게된다.이때 무심코 delete를 하기보다는… truncate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테..
[GCP] Google Cloud SDK 활용편
·
카테고리 없음
개요 GCP를 쓴다면 gcloud CLI를 잘 다루는 건 필수임을 느끼는 요즘이다.. 세팅 방법은 Google Cloud SDK 설치 및 세팅 편에 잘 나와있다. [GCP] Google Cloud SDK 설치 및 세팅 개요 Google Artifact Registry 구축기에 Google Cloud SDK 설치 및 세팅 관련 과정을 첨부해서 글을 작성했었는데 이를 따로 빼는 게 맞다고 판단하였다. GAR에만 쓰는 게 아니고 또 GAR 관련 포스팅 해야할 cobinding.tistory.com 이번 편은 설치한 gcloud CLI를 어떤식으로 사용할지 Cloud Build와 함께 정리한다. gcloud CLI 기본 설정 Google Cloud SDK 설치 및 세팅에서 진행한 것처럼 gcloud init, ..
[GCP] Cloud Build 커밋/푸시없이 트리거 실행하기
·
DevOps/GCP
개요Cloud Build 작업을 하면서 트리거 테스트를 위해 계속 커밋을 남겼었다.그런데 공용 Repository에 커밋 및 푸시를 남기지 않고 트리거를 실행하고, 로그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공유한다.GCP는 상대적으로 자료가 많이 없어서 작업이 꽤 힘들다..🥹 GCP를 사용하는 동안 꾸준히 기록해보자!!  Cloud Build 트리거 실행 Cloud Build > 트리거 경로로 들어가서 빌드 테스트를 실행하고 싶은 트리거의 실행 버튼을 누른다.  그럼 위와 같이 트리거를 실행할 트리거 이름과 저장소, 브랜치 입력창이 나온다. 여기서 Cloud Build에 트리거 대상으로 설정해준 브랜치를 입력하고 트리거 실행을 하면된다. 그럼 바로 빌드가 되고 원격 저장소에 commit이 남지 않는다...! ..
[JAVA] Effective Java. 6장 열거 타입과 애너테이션
·
언어/JAVA
개요회사 업무로 진행하는 이펙티브 자바 세미나 자료 내용이다. 책과 블로그를 참고하였으며, 자세한 코드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GitHub - cobinding/effective-java-semina: [JAVA] 인턴십 업무로 진행한 Effective-JAVA 세미나 코드[JAVA] 인턴십 업무로 진행한 Effective-JAVA 세미나 코드. Contribute to cobinding/effective-java-semin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item34. int 상수 대신 열거 타입을 사용하라 같은 그룹으로 묶이는 int 타입 상수들은 나열하지 말고, enum 클래스를 활용하자. 열거 타입은 그 자체가 클래스..
[Backend] yaml 파일 작성법
·
Dev/Backend
😮‍💨새로 CI가 필요한 프로젝트가 있어서 Cloud Build를 구축하는 도충 계속 아래와 같은 에러가 떴다. "failed unmarshalling build config cloudbuild.yaml: yaml: line 3: did not find expected key" yaml 파일 문법 에러가 발생한 것yaml은 파이썬에서 tab으로 구분하듯이 띄어쓰기가 중요하다.그런데 이러한 띄어쓰기 적용이 툴마다 달라서,,,, 아니 분명 intelliJ로 빌드할 땐 됐는데 외않되지?만 외치고 있다가구글링을 통해 꿀정보 찾음  꿀정보는 아래 사이트인데, yaml -> json 변환 사이트로 yaml 문법이 잘못되면 잡아준다. https://www.json2yaml.com/convert-yaml-to-js..
[Redis] Redis 4편. 운영 방식과 호스팅
·
DevOps/DevOps
개요SpringBoot와 Redis사용법을 redis-cli을 통해 로컬 환경에서 익혔다면, 호스팅 방법과 운영 방식에 대해 공부하고, 결정해보자. 데이터 관리 방식Redis의 장점은 인메모리 방식으로 모든 데이터를 RAM에 저장하여 입출력 성능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을 잘 사용하려면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잘 정의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캐싱 전략레디스 캐싱 전략은 크게 4 가지이다. 보통 읽기/쓰기 패턴을 고려하여 4 가지 전략 중 한 가지를 택하거나 2 가지 이상의 전략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레디스 DB에 쓰기 작업을 진행할 때 주의할 점은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특성상 영속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의 휘발성을 보완하기 ..
[Redis] Redis 3편. Spring Boot와 Redis | Lettuce, RedisTemplate, RedisRepository
·
DevOps/DevOps
개요Redis는 다양한 언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Redi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현재 개발 운영 방식에 알맞은 방법으로 Redis를 도입할 수 있도록 각각의 라이브러리와 방식을 공부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 코드는 깃허브에서 확인 가능하다. Lettuce와 Jedis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레디스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LettuceLettuce는 Netty 기반 라이브러리로 Asynchronous & Non-blocking으로 구현되어 있다. Netty란?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오픈소스 자바 프레임워크로, 비동기 이벤트 기반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자세한 내용은..
[Redis] Redis 2편. 기본 자료형
·
DevOps/DevOps
개요인프런 실전! Redis 활용 강의를 듣고 정리한 포스팅이다.redis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고 익숙해지기 위해 예시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한다. Redis 자료형 특징데이터 타입에 따라 명령어가 다르다.대소문자 구별을 하지 않기 때문에 명령어를 대문자/소문자 구분없이 작성 가능하다. Strings문자열, 숫자, serialized object(JSON) 등 여러 자료형을 저장하는 Strings Type이다. 레디스는 int, Integer 등 별도의 숫자 관련 자료형 없이 모두 strings로 저장한다. strings로 저장되어도 사칙 연산이 가능하다.  (Java를 가장 많이 쓰는 입장에서 이 점이 젤 신기했다.)  Strings 명령어SET lecture라는 변수에 “inflearn-redis”라..
[Redis] Redis 1편. 개념과 특징, 설치 및 간단한 사용법
·
DevOps/DevOps
개요 인프런 실전! Redis 활용 강의를 듣고 정리한 포스팅이다.Redis의 개념과 특징, 설치,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정리한다. 해당 강의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기에, spring boot에 redis를 사용하는 것은 후속편에서 포스팅할 예정이다. Redis 알아보기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 다수의 서버가 공유하는 해시 테이블이다.Remote: Redis 서버는 각각의 서버 안에 로컬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원격상 존재해서 다수의 서버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Dictionary: key-value 쌍으로, 상수의 시간 복잡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Redis 특징표준 C로 작성된 오픈소스 인메모리 데이터 저장소이다.백업을 제외한 모든 데이..
[인턴십] 2023 ICT 학점연계 인턴십 회고
·
회고 & 후기/회고 & 후기
개요학점 연계 ICT 인턴십 업무를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회고를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회고는 배운 것을 중심으로 총 5가지 사항으로 나누어보았습니다.회사의 운영과 협업 경험사용자가 있는 서버 운영 및 개선 경험 사내 세미나를 통한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 및 소통 능력 향상데이터 기반 사용자 경험 개선백오피스 개선  1) 회사의 전반적인 운영과 협업 프로세스 파악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 경험인턴십을 수행하면서스타트업 특성 상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했습니다. MBTI 극한의 J를 달고있는 저로서는 항상 계획적이고 꼼꼼하지만 융통성이 없는 것이 나름의 고민이었습니다. 하지만 인턴십 기회를 얻은 회사에 기여를 하고싶다는..
sebinChu
Studying IT with cobinding